대한예수교장로회연합회 교회동역자협회  

학술

 
작성일 : 23-05-03 16:30  기사 출력하기 글쓴이에게 메일보내기
 

타인 배려의 예절


子食於有喪者之側 未嘗飽也
자식어유상자지측  미상포야

子於是日 哭則不歌
자어시일 곡즉불가.

『논어』 「술이」 계속이다. 그 해석은 다음과 같다.

「공자가 상을 당한 사람 곁에서는 일찍이 배부르게 먹은 적이 없었다. 공자는 이날에 조상을 하면 노래를 부르지 않았다.」

‘곡(哭)’은 조문하여 슬퍼하는 것이다(弔哭, 조곡). 조문을 한 그날 하루는 여전히 슬픔이 남아 있어서 노래를 할 수 없었다는 말이다. 이에 대해 사씨(謝氏)는 배우는 사람이 이 두 가지 일(배부르게 먹지 않음, 노래하지 않음)에서 성인의 올바른 성정(性情)을 볼 수 있다고 하였다. 배우는 사람은 먼저 그와 같은 성인의 성정을 알고 난 후에야 상례를 맞이하는 배움의 도를 바르게 걸어갈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공자 당시의 사람들은 미신 등에 매여 있어서 상을 당한 사람에게 어떻게 예의를 지키고 마음을 전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예절을 알지 못하고 있었다. 아마도 각자 그들의 지역의 미신이나 특이한 방식의 상례를 행하고 있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주지하다시피 우리나라의 상례나 제례, 관례나 혼례 등을 규정한 것은 주자가례가 소개되고 난 후였다. 우리나라에서도 그 이전에는 지역마다 있는 미신적 절차나 지역 특성에 따라 다르게 행해지는 것이 보통이었다. 그렇다면 공자 당시의 상례 등에 대해서는 보편화되어 있던 것이 없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그래서 사씨는 공자라는 성인의 행동을 먼저 깨달아 알고 난 이후라야 사람들이 상례와 관계된 도가 설 수 있다고 한 것이었다.
오늘날의 관점에서는 상을 당한 사람에게 대한 예절이 쉽사리 이해된다. 이렇게 예절이 보편화되기 위해서는 오랜 세월이 걸렸던 것이다. 본문은 그 선구자 중에 한 사람이 공자임을 밝혀주고 있다. 공자 자신이 주나라의 예악(문화)을 사랑하여 지켰다고 했지만 실은 그가 그 시대의 선구자로서 한 가지씩 주나라의 예악을 세워나간 것이었다. 그가 자신을 가리켜 ‘술이부작(述而不作, 글을 지었을 뿐 창작하지 않았다)’이라 한 것은 오늘날로 말하면 그의 겸양의 표현일 뿐이다. 오히려 그는 과거의 예악을 모아서 자신의 시대에 맞게 수정하여 새로이 세워나간 인물이었다. 그가 상을 당한 사람 곁에서 음식을 마음껏 먹지 않았다는 것과 조문을 한 날에는 자신이 알고 있는 사람의 슬픔을 생각해서 한가롭게 또는 기분 내어서 즐기지 않았다는 것은 그의 성인으로서의 인물됨과 그 바른 심정을 얼마든지 느끼게 한다.

그리스도인은 서로 다른 그리스도인에 대해 어떠한 교제를 나누어야 할까. 그리스도인은 그리스도께서 친히 사랑하는 사람을 말한다. 그리스도인은 바울이 안디옥 교회에서 1년간 큰 무리를 가르친 후에 붙여진 이름이다(행 11:25). 이후의 바울의 삶과 안디옥교회 성도들의 삶을 두루 종합하여 추론할 때 그들이 그리스도인이라 불린 나름의 이유가 있을 것이다. 그들은 아마도 그리스도의 심장으로 서로를 대했을 것이다.
그리스도인은 자신과 서로에 대해 그리스도가 사랑하는 자임을 항상 기억해야 한다. 그리하여 자신의 부족함으로 인해 비록 상대 그리스도인의 마음을 다 헤아려 주지 못할 수 있다는 것을 의식할 수 있어야 한다. 비록 깊은 슬픔에 잠긴 그리스도인 형제자매를 온전히 위로해주지는 못할망정 자신만 알고 기뻐해대는 것과 같은 행동은 삼갈 수 있어야 한다.
그리스도인이 개인적으로 사사로이 행동하는 경우에는 다른 그리스도인들이 자신의 태도를 본받아 할 수 있는 그런 태도를 보이고자 하여야 한다. 예컨대 그리스도인의 찬양은 다른 그리스도인의 이 슬픔을 이기고 기쁨을 회복하게 하는 찬양이어야 하는 것이다.
세상이 사악해지고 살아가기 힘들어지고 있다. 이러한 때에 그리스도인만이라도 서로의 마음을 헤아리는 경건한 마음으로 살아가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스도인들 사이에서의 모범이 되는 행위는 물론 믿지 않는 주위 사람들조차 좇아서 살아가고 싶게 하는 그리스도인의 진정한 마음의 행위를 펼쳐야 한다. 그리스도인이라면 서로에게 위로와 평안을 주는 삶을 실천하면서 그러한 생활의 모범을 세워나가야 한다. 세상의 피조물들이 하나님의 아들들의 나타남을 절실하게 원하고 있다(롬 8:19).

글쓴이 프로필
글쓴이 : 문태순 (교육학 박사 백석대 전임교수)

쉰하나. 로마제국 갈망의 게르만족과 중세의 타락
자연의 소리: 비참한 인간을 대신하는 ‘곡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