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호 목사] 24-03-19 17:29
구약성경 39권과 신약성경 27권은 매우 논리적이며 체계적이다. 이 논리는 상대적으로 시간성과 더 밀접하다. 그 중심에 구약시대와 신약시대가 자리 잡고 있다. 또 그 체
[고경태 목사] 24-02-28 10:11
칼 바르트는 『교회교의학 I/2』, § 17에서 “종교의 지양으로서의 하나님의 계시(Gottes Offenbarung als Aufhebung der Religion)”를 제시하고 있다. 2번째 부분에서
[박근호 목사] 24-02-28 10:10
성경은 여호와 하나님의 말씀이다. 구약성경은 언약의 말씀이고, 신약성경은 성취의 말씀이다. 말씀을 빙자하여 자기의 주관적인 생각을 가미시키는 경우를 쉽게 볼 수 있
[고경태 목사] 24-02-06 21:10
우리는 칼 바르트의 『교회교의학 I/2』, § 17의 제목은 “종교의 지양으로서의 하나님의 계시(Gottes Offenbarung als Aufhebung der Religion)”에서 당시까지 내려오는
[박근호 목사] 24-02-06 21:09
성경을 보고 읽을 때, 많은 난관을 만난다. 그 이유는 여러 가지다. 성경의 방대함은 여러 방면에서 어려움을 준다. 구약성경 39권과 신약성경 27권은 그 자체로 다양한 기
[고경태 목사] 24-01-16 17:51
우리는 칼 바르트의 『교회교의학 I/2』, § 17의 제목을 “종교의 지양으로서의 하나님의 계시(Gottes Offenbarung als Aufhebung der Religion)”로 읽고 있다. 종교(宗
[박근호 목사] 24-01-16 17:49
고린도전서 12장부터 16장까지는 오직 하나의 진정한 생명을 강조하고 있다. 사랑 장(章)으로 잘 알려진 13장도 이 생명에 기초를 두고 있다. 15장에서는 부활을 증명하고
[고경태 목사] 23-12-12 21:48
필자는 이전에 칼 바르트 신학에서 좌파와 우파를 제언했다. 그 부분에 대해서 간략하게 제시하며 바르트 신학의 흐름과 상황에 대해서 제시하려고 한다. 먼저 헤겔(Georg
[박근호 목사] 23-12-12 21:47
하나님의 아들은 성경에만 있다. 책으로만 존재한다는 것은 결코 아니다. 2023년 성탄절을 맞이하면서, 하나님의 아들을 제기하여 여호와 하나님 아버지를 증명하고자 한다
[고경태 목사] 23-11-21 21:44
칼 바르트의 『교회교의학 I/2』, § 17의 제목은 “종교의 지양으로서의 하나님의 계시”이다. 우리가 신학자의 사유를 익힐 때에 중요한 것은 신학자가 사용한 어휘 개념
[박근호 목사] 23-11-21 21:43
신약성경은 성령을 많이 표현하고 있다. 구약성경에서는 성령을 사용하지 않고 있다. 신약성경이 구약시대에도 성령을 통하여 말씀을 선포하고 예언했음을 증명하고 있다.
[고경태 목사] 23-10-30 22:05
칼 바르트는 GG I/2., 355-363쪽에서 옛 종교에서 참된 종교로 전환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바르트가 말한 참된 종교는 옛 종교가 아닌 계시로부터 나온 믿음이다. 바르트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가 한국교회 통사 여섯 번째 책으로 『새로
사단법인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가 연구소 설립 40주년을 기념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