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예수교장로회연합회 교회동역자협회  

신학

 
작성일 : 17-09-28 19:25  기사 출력하기 글쓴이에게 메일보내기
 

칼 바르트의 ‘계시’에서 예수 그리스도


필자의 박사 논문은 “칼 발트와 존 칼빈의 예수 그리스도 이해”(총신대, 2007년)이다. 칼 바르트와 존 칼빈의 예수 그리스도 이해를 비교한 것이다. 칼 바르트와 존 칼빈의 계시, 삼위일체, 예정론 부분으로 구분해서 비교했다. 먼저 칼 바르트의 계시 부분에 대한 논문 진술을 요약하겠다.

현재 교회에서 가장 혼돈을 갖는 분야가 ‘계시’ 이해이다. 계시 이해에 혼선이 있는 것은 예수 그리스도 이해에 혼선이 있기 때문이다. 요한계시록 1:1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계시”라는 부분에서 “예수께서 주신 계시(주격)”와 “예수에 관한 계시(속격)”으로 문법적 이해가 나뉜다. 매우 중요한 이해인데 성경 본문 해독에서 합의하지 못하고 있다.
연구자가 자기 개념을 세우지 않으면 타자의 개념을 수용할 수 없다. 바르트의 계시 개념을 이해하려면 자기 계시 이해를 정립하고 밝히는 훈련을 해야 한다. 필자는 계시는 창조계시(일반계시), 구속계시(특별계시)로 나눈다. 계시는 하나님을 아는 지식이다. 하나님께서 자기 종들을 통해서 성경에 기록하게 하여 계시를 알 수 있도록 하셨다. 그래서 성경으로 신학하고, 예수를 안다. 그런데 자유주의에선 성경을 떠나 ‘예수 이해’를 시도했고, 현대신학은 예수와 상관없는 ‘계시 이해’를 구축했다.
바르트의 계시 이해는 ‘발생’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발생’은 계시를 수납하는 인간이 인지해야만 평가가 가능한 것이다. 바르트에게 '인간이 인지하지 못한 계시'는 아무것도 아니다. 바르트 신학이 한국 교회에서 난관을 겪으며 경고 불이 아직도 꺼지지 않은 이유가 계시 이해에서 “성경이 하나님의 말씀이 될 수 있음”이라는 것이다. 바르트는 성경이 “하나님의 말씀이다”라는 신학 명제를 거부하고, “하나님의 말씀이 될 수 있다”라고 변개했다. 바르트가 ‘하나님의 말씀’을 말했기 때문에 자유주의에서 더 정통주의로 가는 개혁이라고 하는데 전혀 그렇지 않다. ‘예수 탐구’를 중지하고 ‘계시 인지’로 방향을 선회했다.
미국의 반틸(Cornelius Van Til) 박사는 바르트의 예수 그리스도 이해를 배격했었는데, 한국의 박형룡 박사는 성경 이해를 배격했다. 한국 교회는 박형룡의 주장을 따라서 칼 바르트의 신학을 배격했다. 한국 교회 현장과 매우 잘 맞은 변호였다. 한국 교회는 아무리 진보적인 교회라 할지라도 성경 권위에 대한 존중을 부정하지 못했다. 그런데 진보적 한국 교회에서 성경 권위가 심각하게 흔들리고 있는 상황이 되었고, 바르트의 신학은 이미 범람해서 더 진보적인 신학이 형성되었다. 최근에는 퀴어 신학(Queer Theology)도 신학의 한 분야로 인정하려는 주장도 발생하고 있다.
신학이 순수 학문을 목적으로 한다면 모든 분야와 주장이 가능하다. 그러나 신학은 교회를 세운 복음과 연관이 되어야 하며, 교회를 거룩하게 해야 할 지식이어야 하는 제한된 범위를 갖는다. 또한, 복음에서 분리된 신학은 신학이 아니다. 바르트는 ‘복음’을 스스로 정의해서 ‘복음적 교회’를 주장했다. 바르트의 복음 이해는 김세윤이 <바울복음의 기원>에서 보충 설명했다(홍성희 역, 엠마오, 9-11쪽). 필자는 김세윤이 바울 복음을 예수 그리스도가 이해한 하나님의 경륜을 계시로 보았다고 생각한다. 필자는 복음은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과 사역이라고 믿는다.
바르트에게 계시 발생은 하나님의 자유이고(ubi et quando visum est Deo), 예정론에서 김세윤의 주장처럼 이스라엘과 인류를 구원하는 하나님의 사랑을 깨달은 예수의 선택에 대해서 제시한다. 김성삼은 “행위하시는 하나님과 자존하시는 하나님: 바르트와 칼빈의 하나님론”(총신대 박사, 2005년)에서 바르트의 신관을 행동하는 신(Gottes Sein in der Tat, <교회교의학> §28, 1. 행위 속에 계신 하나님)으로 규정하고, 존재하는 하나님(Gott ist)이 아님을 논증했다. 바르트에게 예수 그리스도는 철저하게 ‘계시의 객체’에 있다. 필자에게 예수 그리스도는 ‘계시의 주체’이다. 공교회는 예수 그리스도께서 교회 세움과 통치를 믿고 주 하나님을 경배하도록 가르쳤다.
칼 바르트는 계시 이해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영원한 참 인간”으로 규정한다(박사논문 1.1 신학의 시작: 삼중적 형태에서 인간의 상태와 예수 그리스도, <교회교의학> §4, 1. 선포로서의 하나님의 말씀). 인간 예수를 기반으로 한 계시 이해, ‘참 인간’인 예수가 이해한 계시 이해를 반복하는 것이 된다. ‘참 인간’은 ‘진짜 인간’이 ‘참 인간’이다. 죄가 없는 인간은 참 인간이 아니다.
바르트가 자유주의를 탈피했지만 정통신학으로 개혁한 것이 아니라, 더 급진적인 신학으로 세속화를 가속시켰다. 바르트는 자유주의 인간 예수를 기반으로 계시 이해를 정립했다. 이러한 계시 이해는 판넨베르크에 이르러 ‘역사로서의 계시’로 확장되었다. 바르트가 성경(설교)에서 계시가 발생한다는 제한이 있는데, 판넨베르크는 역사에서 계시가 발생한다고 계시를 완전 개방시켰다. 판넨베르크는 예수 이해에서 ‘부활’을 강조하면서 인기를 얻었다. 판넨베르크는 예수 부활로 하나님의 계시가 역사에 시작되었다고 제시했다. 그는 부활 이해가 ‘유대 묵시 문학’에 근거한 사상이라고 했다. 그럼에도 그를 ‘부활 신학자’로 부른다. 판넨베르크가 비록 ‘부활의 사실성’을 강조했다고 하지만, ‘성육신에서 시작하지 않는 부활’은 결국 인간 예수일 수밖에 없다. 계시가 개방된 신학구조에서 ‘예수 구속의 은혜’가 설 자리는 없다.
바르트는 칼빈의 이중적 ‘창조주와 구속주’ 이해를 ‘창조주와 주’ 이해로 변화시켰다. 그리고 바르트는 예수를 화해주로 성령을 구속주로 전환시켜 ‘유일신 삼중적 신’ 이해를 구축했다. 바르트에게 예수 그리스도는 ‘계시의 객체(계시 내용)’로 인류 화해를 이룬 ‘참 인간’이다.

글쓴이 프로필
글쓴이 : 고경태 목사 (주님의교회 / 형람서원)
이메일 : ktyhbg@hanmail.net

시편의 힘
진정한 하나의 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