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미래목회포럼, 한국교회미래 전략 토론회
목회자 자정운동, 재정의 투명한 운영 등 한국교회의 문제들 제기
목회자는 집중된 권한을 내려놓고 주어진 은사만을 실현해야

미래목회포럼은 지난 1월 14일 서울 태평로에 위치한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신년감사예배와 함께 대표 및 이사장 취임식을 가진데 이어 ‘한국교회 미래전략 대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에는 연세대학교 양혁승 교수, 거룩한빛광성교회 정성진 목사, 서원대학교 김성건 교수, 법무법인 송현 윤용근 변호사 , 송촌장로교회 박경배 목사 등이 토론자로 참여해 한국교회의 문제점과 극복방안에 대해 열띤 토론을 벌였다.
이날 토론자 중 한사람으로 나선 박경배 목사는 “목회자 자정운동이 일어났으면 좋겠다” 면서 “한국교회 문제는 성도들은 순수한데 목회자들의 수준이 그렇지 못하다는 데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토론자인 정성진 목사는 “영성을 잃어버린 목회자들이 반성하고 비대해진 교회를 분립해야 한다”면서, “목회자 사례비와 목회자가 운행하는 차량의 상한선을 만들어 사회의 귀감이 돼야한다”고 주장했다. 또 “자연스럽게 이루어진 대형교회라도 이천 명 정도를 기준으로 분립했으면 좋겠다”는 의견을 내놓기도 했다.
서원대 김성건 교수는 “교회 재정의 투명성이 확보돼야만 교회의 공공성이 회복될 것”이라고 말하고, “교회 내 몇몇 사람이 재정과 관련된 모든 것을 결정하는 현 체제는 잘못됐다”고 지적하면서 “성도들과 함께 재정을 어떻게 쓸 것인가에 대해 지혜를 모으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토론회 좌장을 맡은 분당구미교회 김대동 목사는 “칼빈과 루터의 개혁은 문제점을 고치자는 취지보다 주의 은혜로 돌아가자는 운동이었다”며 “목회자로서 생각할 때 교회가 은혜를 되찾는다면 물질적인 문제나 교회의 세속화 문제가 자연스럽게 해결되지 않겠냐”고 전했다.
이날 토론의 주요 주장들을 살펴보면 무엇보다 목회자의 자정운동이나 목회자 사례비 제한, 목회자에 집중된 재정사용권 문제 등 목회자에 대한 문제가 집중적으로 제기되었다. 최근 들어 한국교회의 문제를 토론하는 토론장에서 목회자의 문제가 집중적으로 거론되는 것은 이제 자연스러울 정도로 비일비재한 일이 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한국교회 문제의 중심에 목회자들이 있고, 목회자들에게 권한이 집중되어 있는 기형적인 한국교회의 체제가 있음을 의미한다.
한국교회의 목회자들은 교회의 재정, 행정, 교육의 모든 권한을 독점하고 있고 이로 인해 순수하게 성령의 인도하심에 따라야 할 교회가 목사나 일부 교회 지도자 개인의 전유물로 전락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목회자 중심의 교회 행정으로 인해 교회는 성경적인 교회와는 거리가 멀어져 타락하고 있다.
성령 하나님께서는 성도 개개인에게 말씀을 깨닫게 하시고 이에 기초해서 그리스도의 지체로서 은사 따라 봉사하게 하심으로 교회를 조직하시며, 인도하신다. 그런데 작금의 한국교회는 목회자들이 성령 하나님을 대신해서 교회 행정과 재정·교육의 모든 권한을 독점함으로써 성경적인 순수한 교회와는 점점 더 멀어져가고 있다. 교회는 여느 인간 조직과는 판이하게 다르다. 그리고 그 차이의 핵심에는 성령 하나님의 인도하심이 있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성령 하나님의 인도하심에 온전히 의존하는 순수한 교회로 한국교회가 거듭나기를 기도한다.
편집팀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