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태순] 21-03-15 21:46
子華使於齊 冉子爲其母請粟 子曰與之釜 請益 曰與之庾 冉子與之粟五秉 자화시어제 염자위기모청속 자왈여지부 청익 왈여지유 염주여지속오병 子曰赤之
21-03-15 21:37
16세기 종교개혁 이후 서유럽 사회는 그야말로 격동기였다. 정치와 경제 분야뿐 아니라 종교와 철학 그리고 과학을 포함한 지식과 사상 분야에도 과거 세력과 신흥 세력의
[문태순] 21-02-22 22:28
哀公問弟子孰爲好學 孔子對曰有顔回者 好學 不遷怒 不貳過 不幸短命死矣, 애공문제자숙위호학 공자대왈유안히자 호학 불천노 불이과 불행단명사의 今也則亡 未聞好學
[박홍기 박사] 21-02-22 22:02
남유다가 망해가던 무렵(주전 605-586년) 7세기 초부터 6세기 말은 지중해를 중심으로 서양 철학의 토대가 마련되고 있었다. 대표적인 인물이 페니키아 출신의 밀레토스 사
[박홍기 박사] 21-02-02 20:47
16세기 종교개혁은 당시 유럽 전체를 종교적으로 장악하고 있던 로마가톨릭은 물론 유럽의 국가들과 그들의 다양한 지식과 문화를 근본적으로 바꾸는 계기가 되었다. 종교
[문태순] 21-02-02 19:52
子曰雍也 可使南面. 자왈옹야 가사남면 仲弓問子桑伯子 子曰可也簡. 중궁문자상백자 자왈가야 간 仲弓曰居敬而行簡 以臨其民 不亦可乎, 居簡而行簡 無乃大簡乎. 중궁
[문태순] 21-01-18 19:04
子曰已矣乎 吾未見能見其過而內自訟者也 자왈이의호 오미견능견기과이내자송자야. 子曰十室之邑 必有忠信 如丘者焉 不如丘之好學也 자왈십실지읍 필유충신 여구자언
[박홍기 박사] 21-01-18 18:55
서양철학의 역사에서 통상 알려진 것처럼 최초의 철학자로 칭하는 자는 탈레스(Thales, 640-546)다. 그에게 그러한 칭호를 부여하는 이유는 탈레스가 세계와 인간에 대한
[문태순] 20-12-16 09:56
子路曰 願聞子之志. 자로왈 원문자지지. 子曰 老者安之 朋友信之 少者懷之. 자왈 노자안지 붕우신지 소자회지. 『논어』 「공야장」의 계속이다. 그 해석은 다음과
[박홍기 박사] 20-12-16 09:44
16-17세기 유럽 가톨릭 국가 스페인과 포르투갈이 아시아 침략에 한창 열을 올리고 있을 때 잉글랜드는 북아메리카로 진출한다. 그리고 이와 함께 신학적 정체가 모호한 신
[문태순] 20-11-27 20:46
안연과 자로와 함께 이야기를 나누다 (1) 顔淵季路侍 子曰盍各言爾志. 안연계로시, 자왈합각언이지. 子路曰願車馬 衣輕裘 與朋友共 敝之而無憾, 자
[박홍기 박사] 20-11-27 20:36
소크라테스는 말합니다. 자기는 연인에게 헌신하듯 철학에 헌신하기에, 철학이 말하는 것에 따르고 복종해야 한다. 니체는 바젤대학교 고전문헌학을 강의하면서 플라톤
사단법인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가 연구소 설립 40주년을 기념하
개혁파 교회가 당면한 위기 상황은 이미 오래전부터 예견된 것이